춘원당 상담실
전립선염은 염증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서 급성 세균성 전립선염, 만성 세균성 전립선염, 비세균성 전립선염, 전립선통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급/만성 세균성 전립선염의 경우는 5-10%, 비세균성 전립선염은 60%, 전립선통은 30%정도의 발생빈도를 보입니다.
전립선염은 대단히 흔한 질환으로 남성 비뇨생식기질환의 25%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며, 일생중 성인 남자의 50%에서 전립선염 증후군을 경험한다고 알려질 정도로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특히 사춘기 이후의 청장년 남성에서 흔하고 배뇨시 통증, 소변을 자주보고 시원치 않으며 잔뇨감, 야간빈뇨가 생기는 등 다양한 배뇨증상과 하복부, 회음부, 고환 등의 불쾌감, 뻐근함 등의 통증이 나타나고. 성기능장애와 같은 다양한 증상들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요도의 소양감, 짜릿짜릿한 작열감 등의 요도 증상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전립선증상들은 항상 나타나는 것이 아닙니다. 며칠 동안은 심하게 불편하다가 또 몇 달 동안은 호전되기도 합니다. 또는 하루 중에 아침에 심하기도 하고 저녁때 불편해지기도 합니다. 과음 과로 등 피곤하거나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지면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성관계후 악화되기도 하고 무관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한방의 원인중에서는 신양허쇠(腎陽虛衰)나 신음휴모(腎陰虧耗)가 고령환자의 경우 대부분을 차지하고 비교적 젊은 연령층의 환자는 슬열하주(濕熱下注),어체방광(瘀滯膀胱)의 경우로 관찰된다. 때문에 원인을 따져 고령층에는 온양보신(溫陽補腎),자음보신(滋陰補腎)-신장에 양기,음기를 보강해주고, 약간 젊은층에는 행어산결(行瘀散結),청열이습(淸熱利濕)-혈행을 좋게하고, 염증을 제거할 수 있는 처방을 쓰게 됩니다.
전립선비대증이 아주 심해서 수술을 요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해야 하겠지만 아직 수술을 할 단계는 아니고 약물치료하면서 좀 더 지켜보자는 경우에는 한의학적 치료를 해보시길 권합니다.
- 전립선비대증이 아주 가벼운 상태에서는 소변 횟수가 평상시보다 증가하며 잠을자다 2-3회정도 일어나 소변을 보게 된다. 조금 진행이 되면 소변이 금방 나올듯하면서 안 나오고 또 참지 못하게 되면서 소변을 볼 때 까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전에 비하여 소변줄기가 가늘고 힘이 들게 된다. 경우에 따라 하복부나 회음부가 불편할 수도 있다.
차츰 야간에 소변보는 횟수가 늘면서 잠을 설치게 되고 장거리를 가게되면 항상 소변 때문에 불안하고 소변을 지리는 경우도 있다. 더욱 심해지면 요도가 폐색되어 요폐 (소변을 못봄)가 유발되고 방광이 과도하게 늘어나서 방광기능이 회복이 불가능해 질 수도 있고 신장기능의 상실까지 초래되는 경우도 있다.
- 전립선의 개요 전립선은 치골뒤쪽, 방광의 아래, 직장의 앞쪽에 있으며 하복부의 앞부분에 있는 선조직과 이를 둘러싸는 섬유근 조직으로 이루어진 기관이다.
전립선은 출생후에 발견하기 힘들 정도로 작지만 사춘기가 되면서 남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조금씩 커지게 되는데 성인이 되면 15-20g 정도가 된다.
전립선은 정액의 30%를 생산하고 정자에 영양을 공급해 활성을 주며 수정이 잘 되도록 도와주고, 요로 감염을 방어하는 역할도 한다. 20-30개의 작은 전립선관을 통해 우유빛 액체를 분비하여 정자와 함께 배출된 전립선액은 강산성인 질 내부를 중화시켜 정자가 살아남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수정을 위해 나팔관까지 도달 할 수 있도록 에너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Q: 정자수가 적다고 하는데요?
A: 보통 사정후의 정액을 검사하여 남성의 임신가능여부를 결정짓는데, 정액 1cc당 4000만만리 이하가 되거나 정자의 운동률이 60%이하가 되거나 정자기형 확률이 15% 이상이면 불임의 가능성이 커집니다. 정자수도 중요하지만 운동성이 더욱 중요합니다. 기형확률은 높다 하더라도 정상정자의 운동성이 좋으면 얼마든지 임신은 됩니다. 가벼운 상태의 경우 한방적 치료만으로도 많은 개선을 보며 좀 심하다하더라도 양방적인 인공수정을 겸해서 치료를 꾸준히 해준다면 좋은 결과를 갖을수 있습니다.
Q:조루가 있습니다 어떤 치료를 해야 하나요?
A:조루는 한방에서 조설(早泄),유정(遺精)등으로 보고 치료를 합니다. 원인은 대개 뇌의 사정조절의 문제와 성기주위의 민감성입니다. 한의학적으로는 심신불교(心腎不交)-(사정조절문제)와 신음양구허(腎陰陽俱虛)-(자위로 성신경 쇠약), 심비휴손(心脾虧損)-(과도한 스트레스,과로)등으로 치료에는 각각에 맞는 약물과 약침, 왕뜸 등의 치료를 시행합니다.
1.정액이나 정자의 이상
무정자증: 대표적 남성불임의 원인으로 정액 안에 정자가 전혀 없는 증상이다.
정자감소증: 정액중 정자의 수가 정상수치보다 현저히 적은 증상이다.
2.정자의 이동장애
정자 무력증: 활동정자의 비율이 낮거나 정자가 기형으로 생겨서 정자의 움직임이 활발하 지 못하고 힘이 없어 여성의 난소에 진입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3.여성의 질 내에 사정 할 수 없는 상황
사정불능: 지루나 조루, 음위(발기불능)등이 원인이 되어 질 내에 사정이 불가능한 경우이다.
- 남성불임의 개요 불임의 원인중 남성이 가지고 있는 경우는 25-40% 정도이다. 남성의 생식 방법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남성불임의 원인은 크게 신체적 이상, 발육 이상, 내분비 이상, 생식기 질환 등으로 나눈다, 다시 말해 남성불임의 원인은 수정능력이 있는 정자를 여성의 생식기로 내보낼 수 없는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