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검사 및 탕제실
"춘원당에서는 농약, 중금속 검사 및 유효성분검사를 통하여, 유해성분이 없는 최상급 한약재만을 사용합니다."
춘원당에서는 한약 조제 시에 잔류농약이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청정 한약재, 유효성분이 기준치 이상 함유된 최상품의 한약재만을 사용하기 위하여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조제되는 약재는 농약이나 중금속 검사 및 유효성분 검사에 통과한 약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검사를 받지 않은 약재는 4층에 있는 한약재 품질검사실에서 성분분석을 해서 적합한 약재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잔류농약과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거나, 유효성분이 부족하다고 판정된 약재는 즉시 폐기됩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 Gas Chromatography (GC)
전처리 과정을 통해서 얻은 액체상태의 한약재 시료가 주입구에서 가스화 되어 Column에 충전되어있는 충진 물질로 이동상에 의해 흘러가게 됩니다. 이 때 충진 물질의 분리, 흡착 작용에 의해 물질은 분리되어 Column 출구로 용출하게 됩니다. 이것이 검출기에서 검출되어 피크로 나오게 되는데 이는 적분기에서 적분하여 높이 및 면적으로서 계산이 되어 물질의 정성 및 정량을 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원자흡광분광광도계,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AAS
금속원자를 불꽃에 의하여 높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만들어진 기체 상태의 원자에 적당한 복사에너지(자외선 또는 가시광선)를 쬐여줌으로써 일어나는 복사에너지 흡수현상을 기초 원리로 한 분석기기입니다. 기기 사용방법은 원소성분을 액화시켜 고온 버너에서 원자화시켜 원자화된 원소의 정성 및 정량을 하는 분석기기입니다. 본 기기는 무기물 분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기이며, 금속재료, 환경, 생물화학, 지질, 암석분석, 온천수분, 의학, 화학, 화공, 식품 등에서 분석에 주로 이용되며 연구개발 및 학술 연구용으로 필수적인 분석기기입니다. 한약재의 경우, 약재 속에 함유된 각종 유해중금속 (비소, 납, 카드뮴 등)을 극미량까지 완벽 검사함으로써 제공되는 모든 약재에 대한 품질관리기 가능합니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전처리 과정을 통해서 얻은 액체상태의 한약재 시료가 기기로 주입되어 Column에 충전되어 있는 충진 물질로 액체의 이동상에 의해 흘러가게 됩니다. 이 때 충진 물질의 분리, 흡착 작용에 의해 물질은 분리되어 Column 출구로 용출하게 됩니다. 이것이 검출기에서 검출되어 피크로 나오게 되는데 이는 적분기에서 적분하여 높이 및 면적으로 계산이 되어 물질의 정성 및 정량을 하는 것이 기본 원리입니다.
1. 잔류농약 검사 품목(총 11가지)
2. 유해중금속 검사 품목(총 4가지)
3. 유효성분 검사 항목
「대한민국약전」 제10개정에 따라 검사
전처리 : 약재를 분쇄한 후 용매처리를 통해 추출과정을 거친 후, 카트리지를 통해 정제과정을 거쳐 시료를 준비합니다.
기기분석 : 농약 표준품의 피크값과 전처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시료의 피크값을 비교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합니다.
「대한민국약전」 제10개정에 따라 검사
전처리 : 약재를 분쇄한 후 질산과 과산화수소 등을 이용하여 산처리를 통해 분해하여 시료를 준비합니다. 기기분석 : 검액, 표준액 및 공시험액을 가지고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 중 원자흡광광도법에 따라 측정한다. 표준액의 흡광도 값으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공시험액으로 부정하여 전처리 과정을 통해 준비된 시료의 흡광도 값을 측정합니다. 측정된 값을 「대한민국약전」 제10개정 고시 기준에 설정된 허용기준과 비교하여 약재의 적부판정을 합니다.
「대한민국약전」 제10개정에 따라 검사
전처리 : 약재를 분쇄한 후 각 약재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추출과정(초음파추출, 환류추출 등)을 거친 후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하여 시료를 준비합니다.
기기분석 : 각 유효성분의 피크값과 전처리 과정을 통해 얻어진 시료의 피크값을 비교하여 정성 및 정량 분석합니다. 이렇게 하여 얻은 결과 값을 「대한민국약전」에 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약재의 적부판정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