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내과 [역류성식도염] 증상 및 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832회 작성일 16-10-04 11:08본문
위산이 역류함으로써 가슴의 쓰림과 통증, 가슴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의 이물감, 입냄새, 인후부 불쾌감, 목소리 변화, 기침 등이 발생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탄산(呑酸), 토산(吐酸), 흉비(胸痺), 조잡(嘈雜), 매핵기(梅核氣) 등으로 역류성 식도염을 표현했으며 환자의 증상 유형에 따라 기울, 담음, 식적, 습열, 위열, 비위기허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이 나타나게 된 정확한 원인을 판단하여 기울, 식적, 담음 등을 없애는 치료로 증상을 개선시키고, 補脾健胃시키는 치료법을 통해 약해진 위-식도의 조절 능력을 정상화시켜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