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원당 상담실
- 아이의 면역저하가 의심되는 증상
① 감기에 자주 걸리고 감기에 걸리면 잘 낫지 않는다.
② 두통, 잦은 장염, 복통, 식체 등의 잔병치레가 많다.
③ 신경이 예민하고 짜증을 많이 낸다.
④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아침에 일어나기 힘들어 한다.
⑤ 조금만 활동해도 빨리 피곤해하고 지쳐 한다.
⑥ 성장 발육이 늦다.
-만성적인 면역 저하일 경우 오장육부 중 아이의 허약한 기운을 북돋워 자연스럽게 면역이 증강되도록 도와줍니다. 면역력이 강화되면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늘어나고 성장이 원활해집니다.
허약한 아이들의 특징은 잦은 감기, 한 번 걸리면 잘 낫지 않는 오랜 감기, 각종 호흡기 질환에 잘 걸리며, 잦은 장염이나 복통, 식체 등의 소화기 질환을 호소합니다. 이는 만성적으로 면역력이 부족한 면역저하 상태로 만 10세 이전의 아이가 뚜렷한 원인이 없이 이와 같은 증상을 보이는 경우 결국 정상적인 성장과 발육 및 발달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① 식사 후 바로 눕지 않는다.
② 저녁은 늦게 먹지 않고 양을 적당히 먹는다.
③ 과식, 과음 금지
④ 기름진 음식이나 술, 담배, 커피, 탄산음료를 피하고 공복에 과일이나 쥬스를 먹지 않는다.
⑤ 꽉 끼는 옷은 피한다(복압을 높이는 것은 좋지 않다).
⑥ 수면 중 역류 증상으로 깨는 일이 있으면 상체를 복부보다 높이고 취침을 한다.
위산이 역류함으로써 가슴의 쓰림과 통증, 가슴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의 이물감, 입냄새, 인후부 불쾌감, 목소리 변화, 기침 등이 발생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탄산(呑酸), 토산(吐酸), 흉비(胸痺), 조잡(嘈雜), 매핵기(梅核氣) 등으로 역류성 식도염을 표현했으며 환자의 증상 유형에 따라 기울, 담음, 식적, 습열, 위열, 비위기허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역류성 식도염이 나타나게 된 정확한 원인을 판단하여 기울, 식적, 담음 등을 없애는 치료로 증상을 개선시키고, 補脾健胃시키는 치료법을 통해 약해진 위-식도의 조절 능력을 정상화시켜야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불편감을 총칭하여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합니다. 가슴 부위의 쓰림과 통증, 목의 이물감, 호흡기관의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많은 고통과 불편감으로 삶의 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됩니다.
특히 비만, 음주, 흡연, 스트레스 등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현대인들에게 자주 발생하며 근본적인 치료를 해야만 재발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