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원당 상담실
170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춘원당이야기를 이제 시작합니다

춘원당건강백과

Total 26건 2 페이지
  • [산후보양] 모유수유

    - 모유수유

    엄마와 아기에게 모유수유가 좋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모유수유가 그리 쉬운 것만은 아닙니다.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만큼 나오는 것이 정상이지만, 엄마의 기혈이 너무 쇠할 경우 젖이 잘 돌지 않고, 젖이 잘 돌아도 울체된 기가 많은 경우 젖이 잘 나오지 않아 젖몸살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 산모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한약의 투여로 모유를 늘릴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산모는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고 휴식을 취해주어야 하고, 항상 마음을 편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유양이 많이 부족한 경우, 젖몸살이 심한 경우, 유두의 갈라짐이 심한 경우 적절한 한방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산후보양] 산후풍

    - 산후풍

    여성의 몸은 임신과 출산 과정을 거치면서 호르몬, 자궁의 크기, 체중, 뼈의 구조 등에서 엄청난 변화가 일어납니다. 임신과 출산으로 약해지고 늘어진 몸을 제 자리로 잘 돌려놓지 않으면 평생 동안 후유증에 시달리게 됩니다.

    산후풍은 산후 몸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찬바람을 쐬거나 찬 물을 만지는 경우, 찬 음식을 드시거나 과로하시는 경우 등에 나타납니다.

    증상은 환자마다 다르지만 주로 허리나 무릎, 발목, 손목 등 관절에 통증이 나타나거나 몸의 일부가 특별히 시리거나 전체적으로 으슬으슬 춥기도 합니다. 또한 팔, 다리가 저리거나 어깨나 뒷목이 아프기도 하고, 몸이 무기력해지며,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가슴이 두근거리고, 식욕이 크게 저하되는 증세도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산후풍은 예방이 중요하기 때문에 미리 어혈을 풀고, 기력을 회복하는 조리약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초기에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평생 후유증이 남지 않습니다.

  • [임신 중 관리] 임신중에 한약 안전한가요?

    Q) 임신 중에 한약 안전한가요?

    A) 한의학에서는 임신 중에는 쓸 수 없는 금기약물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또한 임신 중에 엄마의 상태에 따라 반드시 한약을 써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이전에 유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나 임신초기 유산기, 임신중기 조산기가 있는 경우에 유산을 방지하는 한약을 복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임신 중에 입덧, 감기, 설사 등으로 엄마의 기력이 너무 소진될 경우에도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한약을 짧게 투여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임신 중에 엄마가 건강해야 건강한 아기가 태어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 [임신 중 관리] 출산

    - 출산

    현대여성들은 운동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태아가 너무 커지거나, 출산시 만출력이 부족한 경우들이 많아 난산으로 이어져 제왕절개를 하게 되는 경우들이 흔합니다. 자연분만을 위해서는 임신 중기부터 임산부는 적절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고, 엄마의 기력이 너무 소진되지 않게 평소 건강상태를 잘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기력이 부족했던 임산부라면 출산예정일 한 달 전부터 자연분만에 도움이 되는 한약을 먹거나 출산에 임박해서 먹을 수 있는 한약을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임신 중 관리] 입덧

    - 입 덧

    입덧은 아기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고 엄마한테 신호를 보내는 것이지만 엄마는 너무 힘이 듭니다. 평소 비위가 좋지 못한 분들에게 흔한 증상이지만 그렇지 않았던 분들도 생길 수 있는 것이 입덧입니다. 입덧으로 너무 힘들 경우 한약, 혹은 부항이나 간단한 침으로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 입덧이 심할 때는 횡와위가 더 좋습니다. 공복에 일반적으로 심해지므로 음식은 조금씩 나눠서 자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음을 편하게 하고 기분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산책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유산] 치료법

    -습관성유산 치료법

    * 유산이 되었을 경우 다음 임신을 위해 자궁을 회복시키는 한약을 복용합니다.

    * 유산 후에는 3개월 정도 피임을 하면서 건강한 수정란이 되도록 한약, 뜸, 침 등 적절한 한방치료를 받습니다.

    * 다음으로 임신이 되었을 경우 상태에 따라 초기에 미리 유산을 방지하는 한약을 복용하거나 출혈이나 복통같은 유산기가 있을 경우 적절한 한약의 투여로 유산을 방지하고 임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유산] 습관성유산

    - 습관성유산

    습관성 유산의 정의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대체적으로 임신 20주 이전에 반복적으로 3회 이상 유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습관성 유산의 원인은 염색체 이상, 생식기의 해부학적 기형, 호르몬의 이상, 면역학적 이상, 모체의 감염 등으로 파악하고 치료하고 있으나, 이 외에 전체 유산의 60%는 원인불명이라 하므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습관성 유산을 ‘활태(滑胎)’ 라 말하여 예로부터 부인과 질환에서 중요하게 다루어 왔습니다. 습관성 유산의 경우라도 적절한 치료로 건강한 아기를 출산할 수 있습니다.

  • [유산] 개요

    - 유산 개요

    현대사회에서는 불임 못지 않게 유산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임신초기에 복통, 출혈을 동반하면서 유산이 되기도 하지만, 밖으로는 아무 증상 없이 자궁 속에서 태아가 성장을 중단하는 계류유산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유산 후 치료는 향후 임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아주 중요합니다.

    유산 후 3개월 정도는 피임을 하고 자궁을 튼튼히 하는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산 후에도 간혹 산후풍과 같은 증상이 올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유산은 비슷한 시기에 반복될 수 있으므로 유산의 경험이 있으신 분은 임신이 되신 후에도 유산을 방지하고 아기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안태약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 [난임] 임신에 도움이 되는 생활요법
    - 임신에 도움이 되는 생활요법
    * 금기음식 - 가능한 줄여서 드세요! 

    일체의 인스턴트 음식(라면, 냉동식품), 패스트푸드, 튀김, 과자, 빵, 술, 담배, 커피, 탄산음료, 초코렛

    * 추천음식
     잡곡밥에 제철 야채, 해산물, 과일을 위주로 한 한식이 제일 좋습니다. 
    참고) 찹쌀, 감자, 콩, 두부, 땅콩, 검정깨, 참깨, 잣, 율무, 녹차, 시금치, 양배추, 브로콜리, 미나리, 파, 마늘, 생강, 고추, 아욱, 양파, 부추, 쑥, 우엉, 사과, 귤, 토마토, 복숭아, 대추, 건포도, 호두, 모과, 앵두, 미역, 다시마, 조개, 굴, 해삼, 전복, 닭고기 가슴살, 장어, 잉어 등 
    * 추천운동 - 꾸준한 운동은 필수!
    빠르게 걷기 30분 이상
    집안에서 - 모관운동, 합장합척운동, 누워서 자전거타기
    * 생활요법
    월경통, 월경혈에 덩어리가 많이 나오는 경우, 냉대하, 자궁근종, 만성 골반염, 만성 방광염, 임신을 원하는 분들의 경우 팥찜질과 좌욕을 생활화해보세요.
    * 팥찜질
    팥을 면주머니에 넣어 팥주머니를 만듭니다. 전자렌지에 3-5분정도 돌려 따끈해지면 하복을 찜질해주세요.
    * 좌욕
    양변기에서 쓸 수 있는 간단한 좌욕대야에 약간 따끔거릴 정도의 물을 넣고 10분정도 좌욕을 하시면 됩니다. 하루에 1-3회 정도 하고, 꾸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난임] 진료를 미루지 말아야 하는 경우
    - 진료를 미루지 말아야 하는 경우
    1. 월경 주기가 불규칙하고 생리양이 너무 많거나 적은 경우
    2. 나이가 많은 경우 - 35세 이상
    3. 냉, 대하가 있는 경우
    4. 갑작스런 체중 증가가 있는 경우나 무리한 다이어트를 한 경우
    5.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6. 인공유산을 많이 한 경우
    7. 성병에 걸린 경험이 있는 경우
    8. 수족냉 혹은 하복냉이 있는 경우
  • [난임] 난임
    -난임
    난임이란 피임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상적인 부부생활로 1년간 임신이 안되는 경우로 정의합니다. 최근들어 결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10쌍 중 2쌍의 부부는 난임이라고 합니다.
    임신이 되려면 건강한 정자와 난자가 필요하고, 매달 배란이 잘 되어야 하고, 정자들이 자궁 안으로 잘 들어와야 하고, 나팔관이 잘 통해 있어야 하고, 수정란이 제대로 착상할 수 있도록 자궁내막이 충분히 두터워야 하고, 임신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자궁 환경이 좋아야합니다. 이 과정 중에 하나라도 이상이 있으면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이죠.
     난임의 경우 원인을 밝혀내지 못하는 경우가 60%입니다. 병원에서 하는 난임검사로는 기질적인 원인은 찾아낼 수 있지만 보이지 않는 기능적이 원인들은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건강한 여성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 임신입니다. 아직 내 몸이 아기를 만들 정도로 건강하지 못한 것일 뿐입니다. 임신이 잘 되지 않는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한약을 복용하시면서 침, 뜸, 수기치료 등을 병행하면 자연스럽게 임신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난임의 원인은 남성과 여성 반반이기 때문에 부부가 함께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아기와 같은 인공적인 시술을 해야만 하는 경우에도 한방치료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시술이 진행되기 전에 건강한 몸을 만들어야 부작용을 덜 겪고, 성공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