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원당 상담실
170년 역사와 전통이 있는 춘원당이야기를 이제 시작합니다

열린상담실

통증 손가락 건초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춘원당 댓글 0건 조회 12,967회 작성일 09-11-03 17:21

본문

 

안녕하십니까? 춘원당 한방재활의학과입니다. 문의해주신 내용 잘 보았습니다.


통풍환자는 예전에는 고퓨린(purine) 함유식(간, 콩, 팥, 정어리, 멸치젓 등)은 피하도록 하였지만 실제 엄격한 식이요법이 요산농도 변화에 미치는 폭은 2mg/dl 이내로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엄격한 식이요법은 필요치 않으나 음주는 요산배설을 억제하므로 가능한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통풍으로 인한 급성 관절염은 주로 하지에 발생하여 엄지발가락의 중족지절골 관절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그 외 발목, 뒷꿈치, 무릎, 팔목, 손가락, 팔꿈치 등의 순서로 발생될 수도 있습니다. 주로 밤에 수면 도중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곧 그 부위에 염증 반응을 보인다. 음주, 과식, 감염, 운동 후에 자주 발생합니다.


지금 문의하신 증상으로 볼 때 건초염에 통풍성 관절염의 증상이 함께 나타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한의학에서 역절풍(歷節風)이란 병증과 가장 유사합니다. 원인은 혈허(血虛)할 때 풍한습(風寒濕) 의 사기(邪氣)가 침범하여 혈(血)이 오탁(汚濁)해지기 때문이니, 치료 원칙은 조혈(調血)과 행혈(行血)로 합니다. 흔히 '혈허'라는 개념을 문자 그대로 '피가 모자란다'하여 빈혈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의학에서 말하는 혈허란 피의 절대량이 부족하다는 것 뿐만 아니라 인체에서 피가 가진 온갖 기능이 전반적으로 저하되었음을 뜻합니다. 조혈과 행혈을 위해 한약을 이용한 약물치료, 약침치료, 침치료를 병행해서 치료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은 전화 (02-765-1510)로 문의해 주십시요.

그리고 내원하시기 전에는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